김광현 선수는 메이저리그 직장폐쇄로 인해 많은 고민끝 sk로 돌아왔습니다
151억원으로 이대호가 가지고 있었던 150억원을 보다 조금더 주면서 자존심과 함께 최고의 대우를
해주면서 데려왔습니다 그와중에 오히려 미국에 남아 도전을 하는것도 응원하는 에스케이였지만
mlb잔류도 fa이기 때문에 타팀과의 협상 그리고 좋은 성적은 거두었지만 부상이라는 단점과
많은 이닝은 소화해주지 못하는것도 있었고 하지만 이러한것보단
시간이 많이 길어지면서 국내로 돌아오는 길을 선택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기사에도 나왔듯이 대략 700만달러 2년에 1500만 한국돈으로 150~170억선은 받을수 있었던것을
포기하고 돌아온것으로 보이기 예전 다른 선수들이 kbo돌아왔을때하곤 약간의 차이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최근 추신수 선수가 메이저리그에 남았다면 더 받았겠지만 국내서 좋은 기량을 보여주면서 은퇴하려는 생각에 왔듯이
김광현선수 또한 국내서 보여준것은 많긴하지만 미국에서 2년정도 더 보여주고 돈을 많이 받는것보단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선수 생활을 하면서 좋은 기량을 보여주고 우승시키고 싶은 생각으로 돌와 오지 않았을까 합니다
물론 한국에서 151억 역대 최고이지만 미국에서는 2년정도면 받을수 있는 금액이기도 하고
여기에 메이저리그에서 오래 뛸수록 복지혜택도 받을수 있기에 많은걸 포기하고 돌아온 선수이기에 잘했음 하는 바람이네요
하지만 어찌보면 첫해 연봉은 무려 81억이라는 어마어마하게 받게 되었지만 이는 계약금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1년에 몰아준것으로 내년이후에는 샐러리캡이 시행되기 때문에 sk입장에서도 올해 많은 금액을주고 향후에 사치세부담을 줄이는것을 노렸을거 같습니다.
그렇기에 올해 잘 돌아와서 서로 좋은 조건에 계약을 더 손쉽게 하지 않았나 싶네요.
만약 내년시즌끝나고 왔다면 국내서 생각보다 연봉은 맞춰주기 힘들었을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sk에서 올시즌 비fa 선수들을 이렇게 상당히 샐러리캡을 의식해서 잘잡지 않나 싶네요.
올시즌 잘나가다가 선발선수가 줄줄이 부상을 당해 미끌어졌지만 아마 내년시즌
강력한 선발을 구축하기 때문에 막강한 전력을 선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